진화론 이야기 - 피 없는 물고기

아프리카 희망봉의 남쪽, 희망봉과 남극대륙 거의 중간에 '부베 섬'이 있습니다. 현재로는 노르웨이령으로, 빙하로 덮여 있는 작은 섬입니다.

1930년, 이곳에 도착한 학자들은 놀라운 생명체를 발견합니다. 이곳에서만 사는 물고기였습니다.
겉모양은 일반 물고기와 다를 바 없었습니다. 커다란 눈, 가슴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길게 튀어나온 턱과 그 안의 이빨들...
그러나 다른 물고기들과 뚜렷이 구분되는 특징이 있었는데, 그것은 이 물고기의 몸이 투명하다는 점이었습니다.
마치 얼음처럼 투명하다고 해서 얼음물고기(Ice Fish : 아래 사진)라 이름붙여진 이 물고기는, 연구결과 피에 헤모글로빈이 전혀 없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모든 척추동물의 혈액에는 헤모글로빈이 포함되어 있어 산소를 온몸으로 전달한다는 것이 상식입니다. 그러나 이 얼음물고기의 피에는 소량의 백혈구들만이 발견되었을뿐 거의 완전한 소금물임이 밝혀졌습니다.
어떻게 헤모글로빈 없이 산소공급이 가능할까요? 비밀은 기체의 용해도에 있습니다. 고체물질은 온도가 높을수록 용해도가 크지만 기체는 온도가 낮을수록 용해도가 커지죠. 남극해 근처의 -1℃ 이하의 물에서 사는 이 얼음물고기의 피에는 충분한 산소가 녹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헤모글로빈이 없어도 충분한 산소를 온몸에 전달할 수 있었습니다.

이 얼음물고기의 DNA를 조사해본 결과,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유전자가 완전히 파괴되어 있음이 밝혀졌습니다.
최초에, 생존에 필수적인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일어났습니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이 헤모글로빈을 만들 수 없는 얼음물고기는 도태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다행인지 불행인지, 그곳은 남극해 부근이었습니다. 차가운 얼음물 속에서, 헤모글로빈 없이도 충분한 산소가 피(소금물)에 녹아 몸에 전달될 수 있었던 것이죠. 오히려 헤모글로빈이 있을 경우, 저온에서는 혈액의 점도가 증가합니다(그때문에 차가운 바다에 사는 물고기들은 일반적으로 적은 양의 적혈구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헤모글로빈을 만들지 않는 얼음물고기들은 오히려 저온에서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지 않는다는 '자연선택상의 이점'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것역시 비타민 C 유전자의 경우와 같이 '나쁜 돌연변이지만 환경에 의해 도태되지 않을 수 있다'는 보기가 될 수 있습니다.

---------------------------------------

가끔 창조론자 또는 지적설계론자들 중에는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어떤 변이가 생기든, 그것은 태초에 지적설계자가 미리 넣어놓은 유전자가 발현된 것에 불과하며 진화에 의해 새로운 유전자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저 얼음물고가의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봅시다. 위에서 '얼음물고기의 헤모글로빈 유전자가 완전히 파괴되어 있었다'고 했습니다. 일반적인 돌연변이는 헤모글로빈 유전자를 '완전히 파괴'할 정도로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일단 아주 작은 돌연변이가 일어나서 헤모글로빈 유전자가 제구실을 못하게 되었습니다. 그 후로는 헤모글로빈 유전자에 계속 생기는 돌연변이는 더이상 자연선택에 의해 제거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결국 사용하지 않는 유전자는 자연선택의 혜택을 받지 못하기에 계속되는 돌연변이에 의해 파괴됩니다. 바로 창조론자들이 좋아하는 '열역학 제 2 법칙'에 의해서 말이죠.
그러므로 지적설계론자들의 말대로 미리 만들었지만 아직 발현되지 않은 유전자가 있다면, 그 유전자는 자연선택의 대상이 아니므로 돌연변이를 걸러낼 수 없고, 결국 그 유전자는 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뱀발 : 이 얼음물고기는 놀라운 진화의 결과물입니다만, 불행히 그 미래는 밝지 못합니다. 전지구적인 온난화에 의해 그들이 사는 환경도 온도가 올라가고 있기 때문입니다. 헤모글로빈이 없는 상태에서 그들의 피에 녹는 산소량은 점차 줄어들 것이며, 결국 그들은 질식해서 도태될 것입니다. 완전하게 파괴된 유전자로 더이상의 헤모글로빈을 만들 수 없기 때문이죠.

출처 : 한치의 의심도 없는 진화 이야기 Making of the Fitness(션 B 캐럴)

댓글 11개:

  1. 싱바싱바:
    놀랍고 신기한 이야기이네요 'ㅂ'
    -----
    과학도들은 어떤 특정 현상을 확인하면 그곳에 반드시 "?"을 붙이지요.
    "어떻게 이런일이 일어날 수 있는걸가?"
    "왜 이런일이 일어났을?"
    "지금까지 우리가 알고 있었던 사실과 다른점이 있는걸까?"
    그리고 그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 노력합니다.

    하지만 예수쟁이라는 사람들은 바로 그걸 성경에 갖다 붙이지요.
    어떻게 "사람의 머리"에서 탄생한 성경에 세상의 진리가 모두 들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되는지.. 이성적인 사고를할 수 있는 평범한 사람으로선 도저히 이해를 할 수가 없네요.

    심슨가족에서 성경을 비꼬는 멘트로 이런 장면이나오기도하죠.
    바트의 할아버지가 교회 예배시간에 발작을 일으키자
    리사가 호머에게 어떻게 좀 해보라고 재촉을 하지요
    그랬더니 호머가 손에 들고있던 성경책을 뒤적 거리면서
    "하지만 이 책엔 아무런 해결책도 적혀 있지 않은걸!!"
    "this book dosen't have any answer!! "

    답글삭제
  2. 싱비싱바님,
    그래서 앞에서도 올렸죠
    "진화적으로 생각하는 것의 대안은 생각하지 않는 것이다"

    답글삭제
  3. 전남대 수산생명의학과 학생
    아 궁금한게 있는데요 그렇다면 저 얼음물고기의 헤모글로빈을 만드는 유전자는 다시 돌연변이 일으켜서 헤모글로빈을 만들수 있게 될 가능성이 없어는건가요?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다시 정상의 상태로 갈 수는 없는 건가요? 아 전 반박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단지 호기심에 여쭤보는 것입니다.

    답글삭제
  4. 수산생명의학과 학생님,
    맞습니다. 일단 완전히 망가진 헤모글로빈 유전자가 복구될 가능성은 없어보입니다. 만약 진화로 인해 복구를 하기 위해서는 원래의 헤모글로빈 유전자에 가까이 갈수록 적응도가 커지는 자연선택이 일어나야 되는데, 헤모글로빈 유전자는 하나가 잘못되었든지 10개가 잘못되었든지 똑같이 작동을 안하거든요.
    만약 이 물고기가 온수에 적응할 수 있게 된다면 그것은 헤모글로빈을 복구해서가 아니라 다른 산소전달체제를 만들어서일 가능성이 더 큽니다.

    여기서 창조론자들이라면(위 질문자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당연히 요구할 겁니다. 그렇다면 최초의 '완벽한 헤모글로빈 유전자'야말로 지적설계되었다는 것을 인정하라고 말입니다.
    그것에 대해서는 댓글로 답하기에는 힙듦니다. 나중에 정식으로 글을 올리도록 하죠.

    답글삭제
  5.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학생
    아 또 궁금한 것이 있는데 진화와 퇴화의 가장 큰 차이점이 뭐라고 생각하시나요? 지금 얼음 물고기가 진화 했다고 하셨는데 다른 의미로 봤을때는 퇴화라고 생각 될 수 있지 않을까요? 현재 소나무님의 블로그에 그 차이에 대해 나와있다면 링크좀 걸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화란 의미 속에 퇴화는 단지 과정일 뿐인가요?

    답글삭제
  6. 진화론에서는 특별하게 진화와 퇴화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진화론에서는 퇴화 역시 진화의 한 갈래로 봅니다. 왜냐하면 진보냐 퇴보냐 하는 것은 상황에 따라 달라지거든요.

    이 얼음물고기를 보면, 확실히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헤모글로빈은 퇴보했습니다. 하지만 어차피 낮은 온도에서는 산소의 용해도가 커져 헤모글로빈의 쓰임새가 제한됩니다. 게다가 헤모글로빈을 가진 다른 물고기들은 낮은 온도에서 피의 점도가 높아져 산소공급에 지장을 받게 되지만, 헤모글로빈을 잃어버린 얼음물고기들은 저온에서도 피의 점도가 높아지지 않는다는 잇점을 가지게 되었죠.

    이것은 어두운 동굴에 사는 눈없는 동물들 또는 말라리아가 창궐하는 지역에 사는 사람들의 겸상적혈구증 등에도 적용됩니다.

    답글삭제
  7. 전남대 수산생명의학과 학생
    아 그리고 저는 공룡이 멸망한 것에 대한 가설로 운석충돌설이 가장 지지를 받고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공룡시대에 빙하기가 찾아보고 공룡은 멸종하고 소형 포유류들만 살아남았다고 여러 다규멘터리와 수업시간에 배웠습니다. 공룡은 파충류죠. 그렇다면 어떻게 다시 파충류가 생겨났을까요? 공룡이 멸종했다면... 소형 파충류와 바다속의 생물들만 살아남았다고 배웠는데 바다속의 생물들의 다시 진화하여 파충류가 출현하게 된것인가요?

    답글삭제
  8. 그리고 마지막으로 진화론에 대해 연구하려면 어떤과를 가서 어떤 과정을 거쳐야 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혹시나 아시면 가르쳐 주시면 감사합니다. 어릴때부터 물에 손을 담그고 있으면 물갈퀴가 생겨나지 않을까하는 엉뚱한 생각과 함께 지금껏 진화론에 대한 많은 궁금증을 가지고 있습니다. 아신다면 가르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모르신다면 굳이 찾아서 까지 가르쳐 주실 필요까진 없습니다. 제가 하도 의심과 호기심이 많아서 꼭 제 눈으로 확인해야 믿는 타입이라서 제가 꼭 진화론에 대해 공부해서 확인하고 나아가서 진화론에대해 의심의 여지가 있는 학문이 아닌 정확한 학문을 만들고 싶은 욕심이 있습니다. 부탁드립니다.

    답글삭제
  9. 일단 공룡에 대해서...
    한동안 공룡은 파충류의 일종이라 여겨져 왔지만 요즘에 와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공룡이 파충류보다는 조류에 더 가깝다는 증거가 많이 발견되고 있거든요. 깃털공룡이라든지 공룡이 온혈동물이었다는 증거 등등 말입니다. 그래서 요즘은 파충류에서 공룡류가 분화해 나갔고, 그 공룡류는 조류로 진화했다는 쪽에 무게가 실리고 있습니다. 물론 이미 사라진 동물들이니 이견이 많지만 말입니다.

    그리고 소행성 충돌 후 공룡이 멸종하고 포유류만 살아남은 것도 아닙니다. 실제로 소행성 충돌 후 신생대 초기까지 공룡이 살아남았다는 증거가 발견되고 있습니다(창조과학회에서는 이것 하나로 그 외의 모든 지질학적 고행물학적 증거들을 몽땅 무시하고 노아의 홍수를 주장하고 있습니다만 http://www.kacr.or.kr/library/itemview.asp?no=3018).
    그러므로 공룡이나 포유류나 파충류나 모두 운석충돌에 의해 대부분 사멸하고 극히 일부만이 살아남았다고 볼 수 있죠. 그 후 포유류가 공룡류보다 더 빨리 번식하며 지배권을 잡아감에 따라 공룡들은 포유류들에 밀려 사라지고, (포유류가 진출하지 못한) 하늘로 진출한 조류들만 남게 된 것이죠.

    마지막으로 '진화론만을 연구하는 분야'는 없습니다. 유명한 진화론자들을 봐도 '진화학 박사'는 없죠(도킨스 동물학 박사, 굴드 고생물학 박사).
    하지만 진화론은 생물학을 공부하기 위한 필수분야입니다. 그러니 생물학과(또는 생물학과 관련학과)에서 필수적으로 배울 것입니다.

    답글삭제
  10. 아 그렇군요 정말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서 글 읽고 댓글도 달고 하겠습니다.
    하시는 모든일이 잘되길 바라겠습니다.

    답글삭제
  11. 감사합니다. 자주 들러 주세요..^^

    답글삭제